블로그 이미지
bukook
Welcome 1 of the best in the workd. Lets bizing USED COMMODITY of car ben bus truck battery laptopComputer. heavyEquintMachinery BatteryRecapabilityComputerSystem RoRo shipment with bukook unique ShoringSystem. yourPayment conditions acceptable alw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Notice

Archive

2006. 4. 5. 07:26 스크랩

Coal Season's Coming Art Print by Norman Rockwell

1원 더 받을려고 눈에 불을 켜고 밤을 밝히는 사람들, 단가 1센트 올리려고 오지의

거친 상인과 줄당기기를 해가는 세일즈맨들 이들은 우리가 잠든 시간에도 오지를 음지를

험로를 걷고 달리고 뛰고 있다. lone star가 누군가 이들을 도와 수조원의 국부를 눈섭

하나 까딱않고 날리고 있는 자기 개인만 아는 식자층 인사들. 저 멀리 엄동설한의

눈보라가 무섭게 휘몰아 치고 있건만 한 치 눈 앞도 못보고 일지춘심에 젖어 사는 우리

모두 대부분의 사람들.이런 와중에도 세계를 향해 거대 대륙과 인류를 배경으로 암암리에

영향력 펼쳐가는 중국을 위시한 주변의 모든 나라들. 밤잠 설쳐가며 짜장면 그릇 문 앞에

쌓아가며 불모지에 수출입국을 만들어낸 나라 대한민국이 아닌가. 왜 우리가 이런 환경

이 꼴로 비추ㅕ지고 나타나진단 말인가. 좀 서둘러야 겠다 서두른다는 것이 빨리빨리를

의미하는 것만은 아니다. 좀 더 신중하게 행동하자는얘기다. 다시 한번 정비하여 이들을

추월할 수 있는그런 지도자 아님 영웅이 안나타날까

한국, 세계 1등 품목 중국의 1/12도 안돼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 한국은 세계시장 1위 품목이 지난 1980년 12개에서 2003년
9개로 줄어든 반면 중국은 0개에서 무려 116개로 늘어나 한국의 12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이 상대적으로 비교우위를 보이는 정보기술(IT)기기, 섬유 및 의복, 금속, 가전기기,
선박 등은 모두 한국의 비교우위 산업과 중복돼 향후 수출에 있어 지속적인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차문중 한국개발연구원(KDI) 선임연구위원과 최용석 부연구위원,
김종일 동국대 교수는 4일 '중국의 경제성장과 교역증대가 우리 경제에 갖는 의미:한.중간 경쟁관계를
중심으로' 보고서에서 이렇게 밝혔다.

◇한국, 세계시장점유율 1위 9개
유엔 무역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세계시장점유율 1위 수출품은 1980년 12개에서 2003년에는 9개로
줄어들었다. 반면 1980년에 세계 1위 수출품을 하나도 보유하지 못했던 중국은 2003년에는 116개를 기록,
한국의 12배를 넘었다. 한국은 독일(158개), 미국(128개), 일본(47개), 이탈리아(39개), 프랑스(25개) 등
선진국에 비해서도 크게 뒤쳐졌다. 세계시장점유율 상위 5위 내 수출품도 한국은 1980년 68개에서 2003년
62개로 축소된 반면 중국은 0개에서 305개로 늘어났다. 김 교수는 "수출 경쟁력이 일부 품목에 집중돼
가는 것은 선진국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나 한국은 다른 선진국인 독일이나 이탈리아, 프랑스에
비해 수출경쟁력의 다양성이 매우 낮다"고 말했다.

◇한.중 비교우위 산업 비슷, 경쟁 격화
반도체, 자동차, 수송기기를 제외한 전 제조업종에서 중국의 세계시장점유율이 한국을 능가하고 있으며
한국이 경쟁력을 가진 산업에서도 중국이 경쟁력을 획득하거나 경쟁력이 개선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3년간 세계 시장을 지역별.산업별로 45개 부문으로 분류했을 때 미국시장에서의
반도체, 일본의 섬유 및 의복, 아세안의 IT 기기 등 10개 부문에서 중국의 시장점유율 상승으로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축소됐다. 차 선임연구위원은 "세계시장에서 양국의 비교우위가 겹치거나 한국이 비교우위를
잃고있는 부문에서 중국 진출에 따른 고전이 가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양국간 비교에서
지난 2004년 중국이 상대적으로 강한 비교우위를 보인 IT기기, 섬유 및 의복, 금속, 가전기기, 선박 등
주요 5개 산업은 모두 한국이 비교우위를 지닌 산업과 겹친다는 점에서 현재 뿐 아니라 향후에도 중국의 부상은
한국에 있어 지속적인 도전요인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中제품 수입으로 저기술 산업 퇴출 확대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제품이 늘어남에 따라 국내에서도 차별화에 실패한 저기술.저부가가치 산업의
퇴출이 확대되고 있다. 최 부연구위원은 "중국산 수입경쟁으로 고기술산업은 큰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저기술.저부가가치산업은 퇴출.폐업.업종변경 등이 늘어나고 진입은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같은
상황에서 퇴출.폐업.업종변경 기업의 자본집약적 산업으로의 이행은 쉽지않은 것으로 나타나 구조조정 과정이
원활히 진행되지 못한 것으로 추측됐다. 최 부연구위원은 "중국으로부터 수입증가에 따른 기업들의 진입.퇴출.
업종변경 등을 구조조정 과정으로 연결시키고 이들 기업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진입하도록 정책적 노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계시장에서도 중국의 대두와 이에따른 점유율 감소 현상을 자연스럽고 무리없는
국내 산업 구조조정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pdhis959@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인의무기 가슴의 대항마는...  (2) 2006.04.05
이 개ㅈ같은 새끼를 ...  (3) 2006.04.05
개콘은 kbs2만의 전유물인가  (2) 2006.04.05
자위의 컴밍 아웃  (4) 2006.04.04
노마드의 거대이동  (2) 2006.04.04
posted by buk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