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2006 세계적 화두

bukook 2005. 12. 31. 08:37

Tahiti With Girl Laughing Laminated Poster by Teachers Discovery Laughing Zebra Note Card

이제 목표는 큰 목표는 정해졌다 이천육의 목표 달성을 위한 목표는 정해졌다. 웃는 것이다 눈물이 핑 돌도록

웃는 것이다. 미친 놈처럼 웃어제끼는 것이다. 실신한 넘처럼 웃는 것이다. 아침에 일어나 곧장 곧 바로 새면

장으로 가서 거울을 바라보고 거울이 흔들리도록 웃어 째끼지거지, 그럼 그 날은 성공. 이게 세계적인 화두이고

보니 금년엔 많이 웃는 나라가 꼭 필히 선두를 지킬 듯. 창업이나 사업의 확장도 웃응 쪽에다 핀트와 포커스를

맞춘다면 성공은 따논 당상일 듯. 각론적인 분야 선정은 각자의 개성과 전공에 따라 결정될 터이고, 그래 난

웃음 배화점을 해야겠다. 케콘층. 웃차사층. 콩트층. 성인층. 아가층.액션층.서적영상우슴층. 세계웃음모음층...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 분석] 한국·독일 웃찾사 늘어난다

웃음을 최대한 자제하는 것을 미덕으로 여겨왔던 한국과 독일에서 최근 ‘웃음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이 30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두 나라의 ‘웃음 학교’ 사례와 함께 스트레스를 웃음으로 해소하는 요르단강 서안 거주민,이라크 파병 가족을 위한 미 국방부 내 ‘웃음 클럽’ 등을 소개하면서 “여러모로 몸에 이로운 웃음에 대한 관심 증가는 세계적인 현상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 광진우체국 직원 300여명은 일과 후 전문강사가 진행하는 웃음 강좌에 참여한다. 또 이 우체국은 한 시간에 한 번씩 웃자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는 웃음이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는 이유도 있지만,가격과 품질만 가지고선 경쟁에서 이길 수 없다는 비즈니스적 필요성도 큰 부분을 차지한다. 일례로 삼성전자 공장에는 “열심히 일하는 사람은 일을 즐기는 사람을 이길 수 없다”는 표어가 붙어있다. 정치인들까지도 웃음 마케팅에 눈을 돌리고 있어 열린우리당의 정치 지망생들은 득표 방안의 하나로 웃음을 교육받고 있다.
Two Young Women Laughing in a Health Club Photographic PrintPortrait Of A Young Girl Laughing., Djenne, Mopti, Mali Photographic Print by Ariadne Van Zandbergen

오랜 유교적 관습 속에서 일생동안 88일 정도만 웃는 데 시간을 보내는,게다가 그 88일의 대부분은 20세 이전에 써버리는 근엄한 나라로서는 엄청난 변화다. 한광일 한국웃음센터 소장은 “사람들은 경제적인 근심을 웃음으로 날려버리고 싶어하지만 어디서 어떻게 웃어야할지를 모른다”면서 웃음 강좌 특수를 경제불황에 따른 현상으로 설명했다.

헬무트 콜 전 총리가 “독일 사람들은 웃는 것을 두려워해서 지하실에 숨어서 웃는다”고 말했을 정도로 독일 역시 전통적으로 웃음이 없는 나라다. 하지만 이곳에서도 최근 웃음 전도사들이 늘고 있다. 나치 군인이었던 아버지로부터 함부로 웃지 말 것을 강요받으며 자란 하이네 우버(45)는 이제 웃음 학교를 만들어 뮌헨에서부터 독일 전역으로 체인점을 확장해가고 있다. 사람들에게 잘 웃는 법을 가르침으로써 높은 실업률과 음울한 날씨,어두운 역사 등과 맞설 수 있게 하는 것이 그의 목표다. 이 강좌는 웃기는 동작과 요가식 호흡을 결합한 것으로,수강자들은 매트에 누워 한시간 넘도록 미친 듯이 웃는다.

학자들은 웃음이 스트레스를 줄이고 질병과 싸우는 호르몬과 면역 시스템을 강화시키는 등 광범위한 치유 효과를 갖는다고 입을 모은다. 미국 로마린다대학의 리 버크 교수는 “웃음을 알약으로 담을 수 있다면 모든 가정의 약 상자에 비치될 텐데”라고 말했다.

한편 중국 난징에서는 돈을 내면 마음껏 울 수 있는 ‘우는 방(Cry Bar)’이 생겨 머지않아 웃음 학교와 경쟁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
최고의명약은웃음

"배워서라도 웃어라"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이 30일 웃음을 '최고의 명약'으로 꼽으며 웃는법을 배우기 위해 애쓰는 한국과 독일의 '웃음을 찾는 사람들'을 1면 톱기사로 보도했다. IHT는 연구자들에 따르면 웃음은 스트레스를 줄이고,질병과 싸우는 호르몬을 증가시키며 면역시스템을 강화한다며,웃음에 대한 관심 증가는 세계적 현상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요르단강 서안 정착자들은 웃음을 통해 스트레스를 줄이고,미 국방부도 이라크 파병 가족을 위한 웃음클럽을 운영하고 있을 정도라는 것.IHT는 먼저 일과 후에 전 직원이 전문강사로부터 웃음교육을 받는 서울 광진우체국 사례를 소개하며 오랜 유교적 전통으로 인해 재미있는 것보다 근엄한 것을 중시해 온 한국인들이 웃음의 가치를 배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광진우체국 고애란씨는 "웃음치료법이 내 인생관을 변화시키고 있다"면서 "내몸속에서 새로운 에너지가 흐르는 것을 느낀다"고 말했다. IHT는 특히 광진우체국의 경우 500명의 직원이 웃을 이유가 없더라도 한 시간에 한번씩 웃자는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며 한국에선 웃음이 고객에게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비즈니스 기술로서 부각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IHT는 서울의 백화점에선 미소를 띤 점원들이 아침 첫 고객들에게 90도 허리를 숙여 인사하고 있고 심지어 정치계에서도 '웃음 마케팅'에 나서 열린우리당 정치 지망생들은 득표방안의 하나로 웃음을 교육받고 있다고도 전했다.

'한국웃음센터' 한광일 소장은 "사람들은 한바탕 웃음으로 경제적 근심 걱정을 날려버리고 싶어하지만 어떻게,어디서 웃어야할 지를 모른다"며 최근 한국에서의 웃음 강좌 특수를 부분적으로 경제불황 탓으로 돌렸다.
이어 IHT는 20여명이 한 자리에 모여 요가호흡법을 하면서 각종 동물을 흉내낸 우스꽝스런 제스처를 취하며 큰 소리로 마음껏 웃는 교육을 받는 뮌헨 외곽의 `웃기요가 학교'를 소개했다. 독일인들은 웃는 것을 두려워해서 지하실에서 숨어서 웃곤한다고 헬무트 콜 전총리가 말했을 정도로 독일 사람들은 웃음과 친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웃기 요가학교는 이틀 간 수업료가 무려 260유로(약 30만원)나 되지만 비즈니스맨, 교사, 노인 등 다양한 직종과 연령층 성인 수강생들이 몰려들고 있으며, 반응이 좋아 뮌헨을 중심으로 전국으로 점포를 늘려가고 있는 중이라고 IHT는 전했다. 웃기 요가학교 운영자 하이너 우버 씨는 큰소리로 마음껏 웃는 법을 가르침으로써 12%의 실업률과 경제난, 침울한 날씨 등과 싸우는 독일인들을 돕기 위해 이 학교를 설립했다고 밝혔다.
라임병을 앓고 있으며 매일 아침 침대에 누워 1시간씩 웃는다는 아디프롤레씨는"웃음은 근심걱정에서 벗어나게 하고 두려움을 없애준다"고 말했다.

과학자들은 크게 웃으면 스트레스가 줄어들고 우울증이 완화된다고 말한다. 웃으면 뇌가 자극받아 통증 경감 호르몬인 엔돌핀이 활성화되고 행복감을 느끼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이 분비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미국의 웃음 연구자인 리 버크 교수는 웃음은 혈압을 낯춰주고 피 속에 형성돼 박테리아를 파괴하는 이른바 '살상 세포들'을 만들어준다면서 인체 면역력 증진 약품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 난징(南京)에는 얼마 전에,사람들이 돈 만원 정도를 내고 들어가 마음껏 소리지르고 울어 스트레스를 풀게 해주는 이른바 '우는 방'이 생겨 이러한 '웃음 학교'의 경쟁업체가 될 전망이라고 IHT는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