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한·일 회담 외교문서 공개에 대해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는 일본 정부가 2차대전 당시 일본군 성 노예로 동원된 소위 '종군위안부'들에 대한 법적책임이 없다고 26일 주장했다.
고이즈미 총리는 도쿄 시내 집권 자민당 본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종군위안부 문제에 대한) 우리 입장은 한국 정부의 것과 다르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의 이같은 발언은 일본이 한반도에 대한 식민지배 당시 자행한 범죄 행위들에 대해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한국 정부의 이날 발표에 대한 대응으로 보인다.
일본의 주요 언론들도 외교마찰까지 각오한 노무현 정부의 역사청산 움직임으로 한국과 일본간 인식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노 정권이 한·일 협상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개인배상 문제 등을 새로운 정책으로 삼을 방침이며 외교마찰을 각오하면서 식민지 지배와 군사독재 등 과거와 격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역사청산을 주요 추진과제로 삼은 노 정권이 조약체결 40년을 맞아 박정희 전 정권의 협상과정을 밝히고 정부로서 책임지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정권 부양'을 노리는 속셈도 있다"며 정치적 의도를 부각시켰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문서공개가 역사청산을 주요과제로 내건 노 정권의 정치적 고려에 따른 것이라며 한국에서 식민지 지배에 따른 배상요구와 한·일 기본조약의 재협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도쿄=외신종합